Flatlander (미국 1995년, 한국 2013년 4월 25일)


플랫랜더는 22세기 초를 무대로 펼쳐지는 SF 추리물로, 책 제목인 플랫랜더(Flatlander)는 작중에서 평지인(지구인)을 가리키는 말이다.

주인공 길 해밀턴은 평지인이며, ARM이라는 이 시대의 인터폴과 비슷한 기구에서 일하고 있다.

이 시대의 인류는 지구, 달, 소행성대에서 살아가고 있는데, 지구에서 태어나고 자란 인간은 평지인, 월면에서 태어나고 자란 인간은 월인, 소행성대에서 태어나고 자란 인간은 고리인(Belter)으로 각각 서로를 부른다.

특기할만한 사항은 그냥 SF가 아닌 SF 추리물이라는 것으로, 지금과는 다른 미래의 기술적 환경적 사실을 토대로 벌어지는 갈등과 사건, 범죄와 트릭이 책의 주요한 내용이다.

말하자면 랜달 개릿의 다아시경(Lord Darcy) 시리즈의 역 버전, 미래 버전이랄까.(심지어 작자 후기에서 다아시경 시리즈를 언급하고 있기도 하다.) 다만 길 해밀턴에게는 마스터 숀 오 로클란 같은 조수는 없지만, 대신에 초능력으로 구성된 제3의팔이 사건 해결에 도움을 준다. 다아시경 시리즈를 매우 재미있게 읽었던 본인으로서는 플랫랜더를 읽으면서도 아주 즐거운 독서체험을 즐길 수 있었다.

이러한 복합 장르물의 재미는 말 그대로 복합되어 있다는 것이지만, 문제는 반대로 어느 한 장르에 치우친 관점에서 책을 읽게 되면 재미도가 급격히 떨어진다. 작자 후기에 보면 복잡 장르를 쓰는 작가의 애로사항에 대해 적어놓고 있는데, 독자 또한 복합된 각 장르에 대한 소양과 그를 즐길 마음가짐이 되어있지 않다면, 이런 장르를 제대로 즐기기가 힘이 든다.

사실 본인도 플랫랜더의 세계관에 대한 불만이 있었고, 그 때문에 책 초반에는 스스로 재미를 좀 깎아먹기도 했다. 너무 뒤떨어진 22세기의 컴퓨터 기술, 지나치게 과도한 지구의 인구, 기술적으로 인공 장기와 신체가 완벽하게 만들어지고 있는데도 어째서 굳이 생체이식을 원하는가 같은. 그러나 다섯 개의 단편으로 구성되어 있는 이 책의 첫 번째 단편이 1969년 작이라는 것을 생각해보면 납득할 수 있는 설정이고, (작자 후기를 보면) 생체이식에 대한 부분은 현시대에서도 충분히 생각해볼 만한 이슈이기도 하니.

플랫랜더는 충분히 재미있다. 미래에도 범죄가 있고, 수사관이 있으며, 비록 환경과 관습은 지금과 좀 다를지라도 사람들은 여전히 오욕칠정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다면. 그러니까 SF적인 세계관 또는 하드코어한 추리에 한쪽으로 너무 매몰되지만 않는다면.

PS : 번역에 대한 얘기가 많은데, 확실히 읽기에 매끄럽지는 않다. 그러나 요즈음 외서 번역에 대해서 원문을 그대로 옮기는 것이 낫나, 뜻이 통하고 읽기 쉽도록 다듬는 것이 낫나에 대해 상반된 의견들이 있다는 걸 생각해 보면, 무엇이 낫다고 단정 짓기는 힘든 면이 있다. 그러나 어쨌든 매끄럽게 읽히지 않는 부분이 있는 점은 사실이니, 읽기 전에 참고하시기 바란다.
Posted by 미식의별
,